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매년 한전에 전기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사업인 '에너지캐시백' 
    이 혜택은 내가 신청하지 못하면 받지 못하는 혜택이라 모르는 사람은 손해라고 해요! 

    저는 이미 작년에 신청을 해서 알뜰하게 혜택을 받고 있는데요, 

    소득, 재산 상관없이 신청 가능한 에너지캐시백, 신청 조건 및 신청 방법 등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름철 가입 이벤트로 7월 13일(일)까지 신청하면 로봇청소기, 다이슨 헤어드라이기 등 경품이벤트도 진행하니,

    작년에 놓치신 분들은 꼭 신청하시고 혜택 챙겨가시길 바랄게요!

     

    신청 기간 약 2주가량 남았습니다!

     

    에너지캐시백 신청 조건 및 신청방법

     

    에너지캐시백 신청 조건 및 신청방법, 에너지절감

     

    💡 에너지캐시백이란?

    "전기요금 줄이고 캐시백 받는 똑똑한 절약 제도"

     

    전기를 아껴 쓴 만큼 혜택이 돌아오는 친환경 절약 캠페인으로,

    전 달보다 전기세 사용량이 3% 이상 감소했으면 그 감소한 양만큼 전기세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 에너지캐시백 신청 대상∙신청 방법

    신청 조건

    ⭕ 신청 대상: "주택용(가정용) 전기를 사용하는 고객"

     

    ❌ 신청 제외 대상 ❌

    • 전기요금을 관리비에 포함하여 납부하는 아파트 중 사용 전력량 정보가 미제출 된 고객
    •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직전 1개년 동월분 사용 전력량 정보가 없는 고객
    • 한전이 시행하는 타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 참여 고객

    📍 아파트 거주자 분들은 관리사무소에 대상 아파트인지 확인!

    📍 이사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변경될 경우 다시 재신청을 해주셔야 합니다!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 검색 사이트 '한전 에너지캐시백' 검색 or 한전 고객센터(123) 문의하여 신청경로 문자 수신 or 한전 ON 앱 접속
    • 회원가입 및 로그인 진행 (일반가정 '개별세대'로 선택하여 가입)
    • 에너지캐시백 신청 > 고객번호 '주민등록 주소 확인' 선택 > 하단 주민등록번호 입력 시 현재 거주지 정보, 한전 고객번호 확인 자동 조회 > 확인 후 이상 없을 시 선택 후 등록하기
    • 내용 동의 후 '에너지캐시백 참여 확인' 선택하면 신청 완료

    ※ 외국인의 경우 온라인으로 신청 불가, 관할 지사 방문 혹은 Fax로 접수 가능

     

     

    유튜브로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 보러가기

     

    ☑ 방문 신청

    • 전국 한전 사업소 방문하여 신청
    •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지참 필수

    👉 전국 한전 사업소 위치 알아보기

     

     

    💡 에너지캐시백 산정 방법 및 지급 기준

    캐시백 산정 방법

    • 절감량(kWh) = 직전 2개년 동일기간 평균사용량 – 절감활동기간의 사용량
    • 절감률(%) = 해당기간 절감량 ÷ 직전 2개년 동일기간 평균사용량 x 100

     

    캐시백 지급 기준

    직전 2개년 동월 평균 대비 3% 이상 절감할 경우 절감률 30%를 한도로 절감률 구간별로 1 kWh당 30~100원 지급(‘24년 1월분부터 적용)

    절감률 구간 3%이상~5%미만 5%이상~10%미만 10%이상~20%미만 20%이상~30%미만
    단가 30원/kWh 60원/kWh 80원/kWh 100원/kWh

     

     

    지급예시)

    직전 2개년 평균사용량이 332 kWh인 고객 기준

    절감률 절감량[kWh] 캐시백
    4% 14 420원(14kWh x 30원/kWh)
    7% 24 1,440원(24kWh x 60원/kWh)
    11% 37 2,960원(37kWh x 80원/kWh)
    22% 74 7,400원(74kWh x 100원/kWh)

     

     

    🖐️실제 절감했던 캐시백 내역 

    에너지캐시백 실제 캐시백 절감

    <절감실적>

    • 사용량(kWh)
      Ⓐ당월 사용량: 342
      Ⓑ직전 2개년 동월 평균: 396
    • 절감실적
      Ⓒ절감량(kWh) [Ⓑ-Ⓐ): 54
      최대 인정한도(kWh) [Ⓑx30%]: 54 *절감률 한도 30%
      절감률(%) [Ⓒ÷Ⓑ): 13.6

    <에너지캐시백 산정내역>

    • 에너지캐시백
      지급여부: Y
      지급대상 절감량(kWh): 54
      적용단가(원/kWh): 80  (절감률 구간 10% 이상~20% 미만 해당)
      금액(원): 54 X 80원 ➡︎ 4,320원  📍 에너지캐시백 총 4,320

     

    💡 에너지캐시백 적용 시기∙지급 방법

    신청 후 적용은 언제?

    에너지캐시백은 신청 시, 신청일을 포함하는 월분부터 캐시백이 산정되어 그다음 달 전기요금에 바로 할인 적용되어집니다.

     

    • 검침일이 15일인 경우 6월분 전기요금 산정기간은 ➡︎ 5월 15일~6월 14일
    • 해당 기간 신청 시 6월분 전기사용량부터 캐시백 산정됨.

    캐시백 지급은 어떻게?

    캐시백은 당월분 전기사용량을 기초 자료로 절감량, 절감률, 지급금액 등을 매월 산정하여 익월분 전기요금 청구 시 바로 차감하여 지급됩니다.

     

    기존에는 현계좌를 등록하여 현금수령도 가능하였으나, 

    23년 하반기부터는 전기요금 청구 시 차감하는 방식으로만 일원화하여 처리되었습니다.

     

    💡 전기세 에너지 절감 Tip

    ☑ 에어컨 설정온도 1℃ 높이고,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 26℃로 유지하기

        ▸냉방 온도 1℃ 높이면, 7%의 에너지를 절약 가능! 👉 하루 0.41 kWh 절감

     

    ☑ 냉장고는 벽과 10cm 이상 떨어지도록 거리두기

         ▸냉장고는 내부의 열을 밖으로 빼내는 원리로 열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해주어야 

         ▸열이 원활하게 배출되고 전력 효율도 떨어지지 않습니다.

     

    ☑ 휴대폰 충전 완료 시 충전기 뽑기

         ▸충전할 때만 꽂아두고,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충전기를 뽑아주면 배터리도 보호하고 전기도 아

     

    📝 궁금증

     

    • 에너지캐시백 산정 시 왜 절감률 30% 한도가 있나요

        👉 장기출장, 여행 등에 따라 절감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 캐시백이 과다 지급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가정에서 절감가능한 전력사용량 수준을 고려

     

    • 기존에 에너지캐시백 참여했는데, 매월 신청 해야 하나요?

        👉 최초 참여신청을 하면 별도로 탈퇴신청을 하지 않는 한 매월 참여상태가 유지됩니다. 

        👉 이사로 인하여 주소지가 변경될 경우, 재신청이 필요합니다.

     

    • 이사를 온 경우 과거 (직전 2개년) 사용량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 거주환경, 생활환경이 같기 때문에 사용전력량이 유사할 것으로 가정, 이전 거주자의 사용량을 이용하여 산정됩니다.

     

    • 에너지캐시백 신청 후 도중에 이사한 경우 어떻게 되는지?
        👉 이사를 하는 해당월은 에너지캐시백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 당월 청구되는 전기요금보다 캐시백 금액이 많을 경우는?
        👉 당월 청구되는 전기요금에서 차감하고 남은 캐시백은 익월로 이월되어, 다음 달 전기요금 청구 시 차감됩니다.

     

     

     


     

     

     

    전기를 절약한 만큼 혜택으로 돌아오는 '에너지캐시백'

    조건도 까다롭지 않고 신청도 간편하므로, 올여름부터 전기 아끼고 포인트 받는 스마트한 전력 소비를 실천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