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최근 지하철 요금이 1,400원에서 1,550원으로 인상되었는데요, 인상 소식에 교통비 절약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직장인이라면 출퇴근 시에 매일 이용해야 지하철,

    조금이라도 교통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몇 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실제 환급 및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K-패스,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등 다양한 교통비 지원 제도로 각 제도의 적용 대상, 신청방법, 할인 금액 차이 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지하철 요금 할인 받는 방법 (K패스, 기후행동카드, 청년할인)

     

    K-패스 교통비 지원 카드

     

    ' 청년·직장인을 위한 교통비 캐시백 제도 '

    K패스란?

      ▸대중교통 이용 비용을 일부 환급해주는 제도

      ▸버스(광역버스 포함), 도시·광역철도(신분당선, GTX 등), 공항철도 등 이용 가능

     

    대상자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19세 이상 누구나

     

    조건

      ▸교통카드 기능 있는 체크·신용카드 발급 (제휴 카드사만 해당)

     

    혜택

      ▸혜택조건: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60회까지 할인(환급) 

      ▸할인(환급)률: [일반] 20% 적립
                              [청년] 만 19 ~ 34세는 30% 적립
                              [저소득층] 53% 적립
                              [다자녀] 2인 30%, 3인 이상 50% 적립

     

    신청방법

    ① K-패스 카드 발급 (알뜰교통카드도 회원가입 가능)

    ② K-패스 회원가입

    ③ K-패스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 및 지급

     

    K패스 가입조건

     

    지하철 요금 할인 받는 방법 (K패스, 기후행동카드, 청년할인)

     

     

    예시)

      👉 지하철 요금 1,550원 기준, 월 60회 이용 시 = 93,000원

      👉 다자녀(3인 이상) 기준 50% 할인(환급)으로 46,500원

     

    ✔ 1일 최대 2회까지만 할인(환급)
    ✔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 원 초과할 경우, 초과 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적용하여 지급 (경기, 인천, 경남, 울산은 해당 사항 없음)

     

    K패스 할인혜택 자세히 보러가기

     

     

    기후동행카드

     

    지하철 요금 할인 받는 방법 (K패스, 기후행동카드, 청년할인)지하철 요금 할인 받는 방법 (K패스, 기후행동카드, 청년할인)

     

    '정기권으로 무제한 교통패스!'

     

    기후동행카드란?

      ▸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으로, 1회 요금 충전으로 선택한 사용기간 동안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음

     

    ✔️ 이용범위

      ▸서울지역 내 지하철 + 일부 경기도 구간 지하철 (※신분당선 제외)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따릉이

     

    대상자

      ▸일반시민 (제한 없음)

      ▸ 청년 (만 19세~39세) 할인

    ✔️ 청년할인

          청년들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청년들에게 기후행동카드 충전 시 할인 혜택 제공 

     

    조건

      ▸연령 상관없이 어른, 청소년, 청년, 어린이 모두 이용

      ▸청년할인은 ➝ 만 19세~39세 해당

     

    혜택

    구분 30일권 청년 따릉이 미포함
    요금 62,000원 55,000원 +3,000원

     

    단기권 1일권 5,000원 • 따릉이 미포함
    • 사전 충전 불가능
    2일권 8,000원
    3일권 10,000원
    5일권 15,000원
    7일권 20,000원

     

    카드 구매 및 충전

     모바일 카드

    ① ‘모바일 티머니’ 앱 다운로드

    ② 회원가입

    ③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

       ◘ 결제수단➝계좌이체, 본인명의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① 서울교통공사(1~8호선) 고객안전실 및 역사인근 편의점 방문

    ② ‘기후동행카드’ 구매

    ③ 카드 뒷면 QR코드 >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등록

    ④ 구매한 카드를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충전

        ◘ 결제수단➝현금, 신용·체크카드 (법인카드❌)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지하철 요금 할인 받는 방법 (K패스, 기후행동카드, 청년할인)

     

    '정기권인데 청년이라면 추가 할인!'

     

    ▸기후동행카드에서 청년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

     

    • 지원대상: 만 19세~39세
    • 혜택: 선불 기후동행카드→청년요금 5만 5천 원 (따릉이 추가 시 58,000원)
               후불 기후동행카드→30일 기준, 할인된 7,000원 기준으로 월별 일수 차이에 따라 일당 230원 가감 적용

    ✔️ 의무복무 제대군인 청년할인 연장 적용

    • 1년 미만 복무: 만 19세~40세
    • 1년 이상 2년 미만 복무: 만 19세~41세
    • 2년 이상 5년 미만 복무: 만 19세~42세

     

     

    신청방법

     

    ① 모바일/실물카드 발급 (기존카드 사용가능)

    ② 티머니 앱 또는 홈페이지 > 연령인증 및 카드 번호 등록

    청년요금으로 충전 (5만 5천 원 / 5만 8천 원)

        모바일카드 티머니앱 / 실물카드 무인 충전기

    ④ 30일간 할인된 가격으로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

     

     

    바로가기

     

     

    구분 대상 조건 혜택
    K-패스 만 19세 이상 누구나 교통카드 기능 있는 체크·신용카드 발급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53% 환급
    ✅ 일반,청년,저소득층,다자녀 별 상이
    기후동행카드 제한 없음 조건 없음 ✅ 62,000원(성인) /따릉이+3,000원 추가
    지하철+버스(+따릉이 금액추가) 무제한 이용
    청년할인 만 19세~39세 청년 할인 대상자에 포함되어야함 ✅ 기후행동카드 혜택에 청년할인 추가
    ✅ 선불카드기준 55,000원 (따릉이+3,000원 추가)

     

     


     

    출퇴근·통학에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많은 금액을 절약할 수 있는 정책!

    아직도 대중교통 제값 주고 이용하시고 계신 건 아니시죠?

    알뜰하게 절약할 수 있는 혜택이니, 꼭 챙겨서 적용받으세요!

     

     

    반응형